
안녕하세요. 해선강팀이에요🤍
오늘은 다우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처음 들으시는 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이 드네요. 다우이론은 찰스 다우(Charles Henry Dow)라는 미국 언론인이 만든 이론이에요. 찰스 다우의 약력을 대략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아요.
- Dow Jones & Company, Inc. (다우존스 앤 컴퍼니) 설립.
- 경제 전문지인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street Journal, WSJ) 창간.
- 다우존스 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개발.
찰스 다우가 생전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정 이론으로 만든 것은 아니에요. 사후 다른 편집자들이 찰스 다우가 월스트리트 저널 사설란에 기고한 사설들과 아이디어를 종합해 다우 이론을 만든 겁니다. 다우 이론은 주가의 움직임과 주식시장의 반복되는 패턴과 추세를 분석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기술적 분석의 시초가 되는 이론이에요. 한마디로 얘기하자면 시장 추세 분석 이론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우 이론은 어떤 원리일까요??
1. 시장은 모든 것을 반영하죠.
효율적 시장 가설(EMH, Efficient Market Hypothesis)의 내용과 비슷해요. 찰스 다우는 시장이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으며 가능한 모든 정보가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다고 믿었죠. 예를 들어 어느 반도체 업체가 실적 발표 전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것으로 널리 예상된다면 시장은 사전에 이를 반영해 실적 발표가 되기 전 이미 가격이 오르게 되고 어닝 서프라이즈 보도가 나왔을 때는 이미 그 내용이 가격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이 그다지 변하지 않을 것이란 겁니다. 어떤 경우에는 실적이 저번 분기보다 개선됐다는 뉴스가 나오더라도 기대만큼 좋지 않아 주가가 하락할 수도 있다는 것이 찰스 다우의 주장이에요.

2. 시장 추세
다우이론에서는 크게 세 가지 시장 추세가 있어요.
1차 추세(장기): 몇 달~몇 년간 지속되는 시장의 주된 움직임.
2차 추세(중기): 몇 주~몇 달간 지속되는 움직임.
3차 추세(단기): 몇 시간~일주일~2주 정도 사이 사라지는 경향이 있는 움직임.
3. 시장 추세의 세 가지 단계
다우 이론에 따르면 시장의 장기적 추세(1차 추세)는 세 단계를 거치죠. 강세장과 약세장에 따른 단계를 써보면 아래와 같아요.
- 강세장(Bull Market, 불 마켓)에서는 매집 단계 (Accumulation Phase), 대중 참여 (Public Participation Phase), 과열 단계 (Excess Phase)로 이어집니다.
- 약세장(Bear Market, 베어 마켓)에서는 분산 단계 (Distribution Phase), 대중 참여 단계 (Public Participation Phase), 공포 단계 (Panic Phase)로 이어지죠.

4. 교차-지수 상관분석: 지수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우이론에서는 시장 지수에서 관찰되는 장기적 추세(1차 추세)는 다른 시장 지수에 의해서도 확인되어야 한다고 했어요. 이 당시에는 다우 존스 운송지수(Dow Jones Transportation Average Index, DJT)와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DJIA)와 관련된 내용이었어요.
예를 들면 당시 주로 철도를 이용했던 운송시장은 산업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죠.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려면 더 많은 원자재가 필요했고 이를 조달하기 위해서는 철도 운송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추론이었어요.
따라서 제조업이 호황이라면 운송시장지수를 확인할 때도 상승세인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다우 이론 교차-지수 상관분석의 내용이에요.
예전에는 제조업-운송시장에서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존재했지만 최근에는 비대면 및 디지털 산업의 발달로 인해 교차-지수 상관분석이 잘 맞아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5. 거래량은 중요한 지표다.
다우이론에서는 거래량을 결정적인 2차 지표라고 강조해요. 강력한 추세에는 많은 거래량이 동반되어야 함을 말해요. 거래량이 많을 수록 해당 내용이 진정한 시장의 추세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고 거래량이 적을 때는 왜곡(속임수) 된 추세일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가격 정보이며 1차적으로 분석은 가격에 기초해야 하며 거래량을 2차 지표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주 내용이에요.
6. 기존 추세는 반전될 때까지 유효해요.
다우이론에서는 기존 추세가 반전될 때까지 계속해서 유지한다고 믿었어요. 예를 들어서 한 기업이 장기적 상승 추세에 있다면 확실한 하락 반전이 있기 전까지는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내용이에요.

다우 이론도 다른 여러 지표들과 같이 한 게 점 또한 있어요.
나온 지 수십 년이 지난 이론인 만큼 최근 시장과는 맞지 않는 부분도 어느 정도 있어요. 먼저 효율적 시장 가설은 최근 연구되고 있는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과는 어느 정도 배치되는 내용이에요. 행동경제학에서는 고전 경제학이 가정하고 있는 "합리적 인간"이라는 가정을 공격하는데 모든 인간이 주어진 정보 안에서 최선의 판단을 한다는 "합리적 경제인"이 아닌 "적당히 합리적인 인간"이라는 것이 행동경제학의 시작점이죠.
또한 연관된 지수끼리는 방향성도 동일하다는 교차-지수 상관분석도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연관 관계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거나 새롭게 연관된 지수가 많아졌기 때문에 "어느 지수는 어느 지수와 무조건 연관되어 있다"라는 것은 더 이상 합리적이지 않은 가정일 수도 있어요.
긴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해가 바뀌어도 여전히 날씨가 많이 춥고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네요. 올해는 작년의 상황에 안주하거나 하지 마시고 배움의 길에는 끝이 없으니 더 나은 모습으로 매매하시기를 바랄게요. 궁금한 부분 있으시면 아래를 통해 문의주세요. 답변 성의껏 해드리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주시면 친절상담 해드리겠습니다:)
카카오톡 : kysys007
https://open.kakao.com/o/s6439SXd
해외선물/국내선물 무사고 안전업체 hts 1:1상담문의
#해외선물 #대여업체 #안전업체소개 #친절상담 #빠른상담 #편리한hts #나스닥 #항셍 #크루드오일 #선물옵션
open.kakao.com
'해외선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선물 거래 유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6 |
---|---|
해외선물 관련 도움 되는 사이트 목록 (0) | 2023.03.16 |
해외선물 고용동향 지수 지표를 알아보자. (0) | 2023.03.16 |
해외선물 경제지표 미국무역수지, 소비자물가지수 (0) | 2023.03.16 |
해외선물 경제지표 알아보기.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