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22

해외선물 관련 도움 되는 사이트 목록

​ 안녕하세요. 해선지킴이 강팀장입니다🤍 해외선물 매매하실 때 참고 하시면 좋은 여러 사이트들을 좀 알려드리려고 해요. 해외 주요 거래소, 미국 Federal GovV 통화/금리/원자재 관련 정보 사이트, 미국 감독 기구, 주요 경제미디어, 경제지표 발표 주요 사이트의 링크를 알려드릴게요. ​ ​ 주요 해외 거래소 사이트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미국 시카고 거래소(CME : Chicago Mercantile Exchange) : 통화, 지수, 금리, 이너지 농산물 등 다수 ​ http://www.cmegroup.com ​ 미국 뉴욕, 영국 런던 국제상품거래소(ICE : Intercontinental Exchange) : 달러인덱스, 소프트(코코아, 커피, 오렌지주스, 원당), 에너지(브렌트유,..

해외선물옵션 보조지표 다우이론 패턴 알아보자.

​ ​ 안녕하세요. 해선강팀이에요🤍 오늘은 다우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처음 들으시는 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이 드네요. 다우이론은 찰스 다우(Charles Henry Dow)라는 미국 언론인이 만든 이론이에요. 찰스 다우의 약력을 대략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아요. ​ - Dow Jones & Company, Inc. (다우존스 앤 컴퍼니) 설립. ​ - 경제 전문지인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street Journal, WSJ) 창간. ​ - 다우존스 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개발. ​ 찰스 다우가 생전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정 이론으로 만든 것은 아니에요. 사후 다른 편집자들이 찰스 다우가 월스트리트 저널 사설란에 기고한 사설들과 아이디어를 종..

해외선물 고용동향 지수 지표를 알아보자.

​ 안녕하세요. 해선지킴이 강팀장입니다♡ 이번에는 해외 선물 경제지표 중 하나인 CB 고용동향 지수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우리가 해외선물에 대한 시황을 듣거나 미국에 대한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미국 고용지표에 대해 자주 언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그만큼 미국 고용지표는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셔야 해요. ​ ​ ​ CB 고용동향 지수(Empoyment Trends Index. ETI)란 무엇일까요? ​ CB 고용동향 지수는 다른 지표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중요해요. 어떤 다른 지표들도 고용동향 지표만큼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을 만큼 매우 중요도가 큰 부분이에요. 그 이유에 대해서 말해보자면 ​ 첫 번째. 고용 관련 뉴스는 매우 시기적절하게 발표하죠. 이전 달의..

해외선물 경제지표 미국무역수지, 소비자물가지수

​ 안녕하세요. 해선강팀이에요🤍 지난번에 해외선물 경제지표에 대해 첫 포스팅을 했었죠. 이어서 경제지표 두 번째 포스팅을 해볼게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먼저 미국의 경제지표 중 하나인 무역수지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최근 미국의 무역수지는 지속적으로 적자를 맞이하고 있어요. 지난 5월에는 소비 회복에 따른 상품 수입 증가와 서비스 수출 부진이 동시에 나타나며 미국 무역수지 적자가 최고치를 경신했죠. 그러나 미국이 무역수지 적자를 대규모로 지속적으로 기록을 하고는 있지만 아무도 이를 두려워 하진 않은 것 같아요. 그 이유는 미국이 기축통화일 뿐만 아니라 무역수지 외에도 자본 및 금융수지에서 미국 밖으로 나가있는 달러화가 다시 미국으로 환류되기 때문이에요. ​ 국부 측면에서도 경상수지는 적자라고 해도 이..

해외선물 경제지표 알아보기.

​ 안녕하세요~^^ 해선 강팀장이에요🤍 이번 포스팅부터 해외선물 경지지표에 대해 안내를 좀 해볼까 해요.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좋을 거 같네요. 바로 시작할게요. ​ 해외선물에 관해서 투자자분들이 기초적으로 알아야 할 경제지표 중 하나죠. 우선 미국 소매 판매 지수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먼저 소매판매지수에 대한 개념은 내구재 및 비내구재를 포함해서 소매상의 월 매출을 집계하여 지수를 산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어요. 쉽게 말해 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을 나타내는 지표에요. 따로 서비스나 보험은 집계되지 않으며 상품만 집계하고 있어요. ​ ​ 그러면 소매판매지수는 왜 중요할까요? ​ 소매판매지수는 매달 13일 즈음 오전 8시 30분에 미국 정부에서 데이터 집계를 정리하여 발표하고 있어요. 미국 경제에서 소비가 차..

선물옵션이란?? 콜옵션, 풋옵션 기본 개념을 알아보자.

​ 안녕하세요. 해선강팀장입니다🤍 오늘은 파생상품 중 하나인 옵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잘 모르시는 분들은 얼핏 선물과 옵션이 크게 무슨 차이가 있나 하시겠지만 확실하게 둘은 큰 차이가 있어요. 최대한 어렵지 않은 영어로 풀어서 알려드려 볼게요. ​ ​ 콜옵션이란 무엇일까요? ​ 콜옵션 매수는 "미래의 어떤 시점에 계약한 가격으로 살수 있는 권리를 매수한다"라는 말이에요. 이해가 되기 쉽게 아래 그림을 예로 참조해 볼게요. 1만 원짜리 주식을 앞에 두고 a 씨(콜옵션 매수자, 매매 권리)와, b 씨(콜옵션매도자, 매매 의무)가 만 원에 만기 한 달 옵션 거래(행사가격)를 하기로 약속했어요. 한 달 후 a 씨 상황과 b 씨 상황이 발생했을 때 a 씨와 b 씨는 과연 어떤 식으로 행동하게 될까요? ​ ..

해외선물과 주식의 장점을 비교해 보자.

​ 안녕하세요. 해선강팀장이에요🤍 요즘 해외선물과 주식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늘어 나는 추세죠. 둘 다 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보통은 주식을 하든 선물을 하든 한 가지만 투자하시는 분이 대다수일겁니다. 각 투자 마다 장점이 있는데 투자의 장점이 더 많은 방향으로 투자를 시작할 거라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해외선물과 주식투자에 어떤 장점이 있는지 비교를 해보려고 해요. 서로 비슷한 듯하지만 분명히 다른 점이 있어요. 서로 비교해 보면서 각 투자 상품이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위주로 글을 써볼게요. ​ ​ 먼저 필자가 생각하는 해외선물투자가 주식 투자보다 나은 이유에요. ​ 첫 번째. 큰 레버리지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 주식의 경우 투자할 수 있는 투자금이 적은 경우에 기대할 수 있는 수익..

해외선물 상품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 안녕하세요. 해선 강팀이에요🤍 오늘은 해외선물 HTS를 실행하시면 투자할 상품들이 제일 먼저 보일 거예요. 그 상품에 대해 기본적으로 설명을 좀 드리려고 해요. 우리가 투자 자체를 하는 자세는 좋습니다. 하지만 피 같은 내 돈을 어디에 투자하는 지는 알고 베팅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해외선물 상품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 ​ 호주달러 AUD/USD ​ AUD 선물은 호주달러/달러의 환율을 대상으로 미리 사거나 파는 계약 상장거래소 : CME 증거금: 위탁증거금 $1,980 / 유지 증거금 $1,800 계약단위 : AUD 100.000 (1호주달러 = 957.60원) 호가단위 : 1틱 0.0005 최소 가격 변동 : 틱가치 10$ (1틱 수익나면) 거래시간 : 월~금: 오전 7시 ..

해외선물이 투자가 어려우신 분 필독!!

안녕하세요. 해선 강팀장입니다🤍 오늘도 여러분들을 위해 다시 블로그 포스팅을 이어 가보려고 합니다. 직전에 해외선물 보조지표와 사기 대여계좌업체의 리딩방을 주의하자라는 글들을 썼었죠. 오늘은 해외선물을 시작은 했는데 주식보다 어려워서 힘드신 분들을 위해 한 말씀 전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시작해 볼게요. ​ ​ 먼저 해외선물을 하실 때 팔랑귀가 되시면 안됩니다. 여러분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셨을 때 과연 개미투자자들이 해외 전문 투자자들이나 메이저들 보다 좋은 정보를 먼저 확보할 수 있을까요? 만약 어디서 좋은 정보를 들으셨다면 지금 이때다 싶어서 생각도 하지 않고 한치의 의심도 없이 해외선물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초보 투자자분들 사이에서는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라고 볼 수 있어요. 물론..

해외선물 보조지표 CCI를 공부해서 거래해 보자.

​ 안녕하세요 해선 강팀장입니다.♡ 직전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도 보조지표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필자가 해외선물 매매하면서 사용하지는 않는 지표에요. 근데 다른 일부 해외선물 투자자분들이 CCI를 쓰시는 분들이 간혹 있어서 초보 분들을 교육한다는 의미에서 써보려고 합니다. ​ ​ 먼저 CCI란?? 무엇인지 아셔야겠죠. 원래 목적은 상품의 가격의 계절성이나 주기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만들어졌죠. 최근의 상품 가격이 평균 가격에서 이동평균에서 얼마나 멀어지는가를 표시해 추세의 방향 그리고 강도를 나타내주는 지표에요. 가격이 한 방향으로 지속될 경우 추세가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죠. 투자수단이 과 매수, 과매도 된 상태에 도달하는 시기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입니다. ​ 1980년 D.Lamb..